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평상시 한복을 입는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결혼할때 맞춰둔 한복은 제대로 값어치도 못하고
버리게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결혼식 후 집안행사, 명절에만 간혹 착용하는 한복 어떻게 보관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한복 관리 및 보관방법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한복 세탁하는 방법은?!
한복을 세탁하는 방법은 한복의 소재에따라 달라집니다.
천연섬유인 명주로 된 한복은 드라이클리닝을 하는것이 좋고
합성섬유는 손빨래를 하는것이 좋은데요!
한복의 특성상 소재가 얇고 바느질이 섬세하기때문에 잦은 드라이 클리닝은
탈색되거나 바느질이 상할우려가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세탁기를 사용하면 옷감의 올이 튀거나 모양이 손상되기 쉬우므로
손으로 직접 살살 비벼서 빨아주시기 바랍니다.
간혹 음식물을 흘려 얼룩이 생기면 벤졸을 이용해주면 간단하게 지워져요!
한복 보관 방법
평상시 생활한복을 입고 생활하시는 분들도 간혹 계시지만
대부분 집안행사나 명절에만 한복을 입기때문에 다음 행사를 위해
잘 손질하여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복은 큼직하게 접어두어야 옷감이 상하지 않고
자주입을 경우에는 옷걸이에 걸어두어도 무방하지만
대부분 자주입지 않기때문에 상자에 담아 보관을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남자 한복보관 방법
저고리의 고름은 두짝을 나란히 포개어 병풍접기를 해주고
양쪽 소매를 몸통쪽으로 큼직하게 접어놓습니다.
마고자의 경우 양쪽 소매만 몸통으로 접으면 상자에 쉽게 보관할수있는데
저고리위에 끼워 정리하면 모양이 변하지 않아요!
남자 바지는 밑 선을꺽어 포개고 밑 아래의 반과 밑위의 반을 마주접고
중앙으로 포개면 모양이 변하지 않고 쉽게 보관할수 있습니다.
여자 한복 보관 방법
저고리는 소매를 펼친 후 고름 두짝을 가지런히 하여 포개 놓습니다.
그 후 양쪽 소매를 몸통쪽으로 꺽어 접어놓으면 쉽게 보관할수 있습니다.
치마는 폭을 네 겹으로 접고 길이를 반으로 접어 보관하면
상자에 쉽게 보관이 가능해집니다.
지금까지 한복을 관리하고 보관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한복은 특성상 모양의 변화가 거의 없기때문에 보관 및 관리만 잘한다면
두고두고 입을수 있으므로 다음 행사 또는 명절을 위해 잘 손질하여 보관하여
아름다운 한복의 색 및 모양의 변형을 방지해주시기 바랍니다.
'일상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혼 이혼이란 무엇일까? (0) | 2014.02.13 |
---|---|
차량 장기렌트 이용절차 및 구비서류 (1) | 2014.01.28 |
자동차 장기렌트 VS 직접구매 (0) | 2014.01.06 |
현명하게 가전제품 렌탈서비스 이용하는 방법 (0) | 2013.11.17 |
추천하는 공기청정기 선택 요령 (1) | 201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