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단기간 시술로 치아를 가지런하게 만들어줄수 있는
라미네이트를 받는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라미네이트란 치아에 인조손톱처럼 치아모양의 얇은 세라믹 팁을 붙여
치아를 깨끗하고 가지런하게 만들어주는 시술로서
짧은시간 내에 치아교정효과와 미백효과를 얻을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라미네이트는 보통 치아사이가 벌어져 있거나 치아배열이 고르지 않은경우,
치아 변색이 심한경우에 이용하고 있씁니다.
다른 치아성형에 비해 치아를 다듬는 양이 적어 환자가 느끼는 고통도 적으며
원하는 모양과 색을 정할수 있어서 심미적인 효과도 뛰어납니다.
또한 금속성분이 없는 도자기로 치아를 만들기 때문에 잇몸과 반응이 좋아
염증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며, 치아의 틈을 메어줌으로써 충치유발 문제 등
기능적인 문제를 해결할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장점이 있는 라미네이트지만 아쉽게도 영구적이 아니기때문에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는 라미네이트를 교체해야합니다.
보통 라미네이트의 수명은 약 7 ~ 10년정도 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10년 이하만 사용해야 된다고 기간이 정해져 있지는 않고,
간혹 잘 치료되고 관리된 라미네이트의 경우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라미네이트를 오래 사용하려면
수술 후 관리를 잘 해주어야 합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이 치아도 개인마다 모두 다른 모양을 하고 있기때문에
자신의 치아와 잇몸을 고려하여 정확한 진단 후 시술이 이루어져야 하며
라미네이트를 해야할 경우가 아닌데 무리하게 라미네이트를 하면 안됩니다.
또한 미용만 고려하지 말고 치아의 건강도 고려하여 라미네이트 시술을
선택하도록 해야합니다.
그 이유는 라미네이트도 인공적으로 치아를 시술하는 치아성형이기때문에
부작용이 발생할수도 있기때문입니다.
라미네이트와 관련된 부작용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1. 치아가 시리거나 통증이 있는경우
라미네이트는 치아를 삭제한 후 라미네이트를 붙이는 시술이기때문에
치아삭제를 많이 하게되어 라미네이트를 두껍게 할 경우
본래의 치아가 얇아져 시릴수 있으며 심할경우 치아가 파손될수도 있습니다.
2. 라미네이트가 파손되는경우
앞의 부작용과는 반대로 치아삭제를 적게하여 라미네이트가 얇아지면
약간의 충격에도 라미네이트가 파손될수 있으며
딱딱한 음식을 먹을 경우 씹는 힘에 의해 라미네이트가 깨질수도 있습니다.
3. 라미네이트의 착색
라미네이트는 쉽게 변색이 되거나 착색이 되는 재질은 아니지만
강한색소가 들어있는 음식이나 치아관리가 소홀할경우
착색이 일어날수 있습니다.
4. 라미네이트가 떨어지는 경우
라미네이트 붙이는 기술이 발달하여 잘 떨어지지는 않지만
접착제 종류나 접착하는 부위가 협소해 라미네이트가 떨어질수 있고,
구강의 교합을 고려하지 않고 라미네이트를 시술하였을 경우
심하게 맞물리는 교합을 가진 사람은 라미네이트를 하고나서도
치아끼리 맞물려 라미네이트가 떨어질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런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 정확하고 진단을 통해
그에 맞는 라미네이트 치료계획을 세운 뒤,
라미네이트 치료경험이 많은 병원을 선택한 후 시술을 받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라미네이트는 치아관리가 소홀할 경우에도 부작용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알려주는 주의사항과 관리방법을 잘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약 1주일에서 10일정도의 짧은 기간동안 치아를 가지런하고 아름답게
만들수 있는 라미네이트인 만큼 현명한 선택과 올바른 시술 후 관리를 통해
라미네이트 효과를 충분히 가져오시기 바랍니다.
라미네이트로 유명한 수치과 홈페이지에서는 라미네이트에관한
자세한 정보를 살펴보실수 있고, 상담을 통해 궁금하신 점을 해결해볼수도 있어
라미네이트 선택에 도움이 될것입니다.
아래 수치과 홈페이지 링크걸어두니 필요하신분들은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생활속 뷰티정보 > 라미네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출 입의 효과적인 치료방법 프로파일 라미네이트 (0) | 2013.04.03 |
---|---|
치아교정과 라미네이트의 차이점은 (0) | 2013.03.14 |
남자에게 적합한 치아성형 큐브 라미네이트란 (0) | 2013.03.01 |
치아성형 앞니라미네이트란? (0) | 2013.02.14 |
치아성형 종류 라미네이트와 올세라믹 이란? (0) | 201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