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정보

ELS 투자시 확인해봐야 할 항목

요즘은 재테크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ELS에대해 한번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ELS는 삼성, 현대차 같은 특정 종목의 주식이나 코스피 같은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산으로

만든 신종 유가증권으로 그 기초자산이 얼마나 오르는지 또는 내리는지에 따라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시스템입니다.

오늘은 ELS라고 불리우는 주가연계증권(Equity-Linked Secyrities)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LS란?

 

ELS란 앞서 알아봤듯이 개별 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에 연계되어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유가 증권으로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크게 원금보장형과 비보장형으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즉, 원금 비보장형을 선택시 원금 손실 가능성을 감수하면서 연 8 ~ 15%의 고수익을 노릴수 있고

반대로 원금 보장형을 선택시 리스크를 줄이면서 연 5 ~ 7%의 수익을 추구할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잠시 ELS의 대표적인 유형을 알아보면

① 투자기간 중 미리 정해놓은 주가수준에 한번이라도 도달시 확정수익을 주는 녹아웃형

② 특정 주가를 X개월 마다 중간 평가를 하고 평가일에 Y%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연 Z%의 수익을 지급하고 조기 상환하는 형태의 스텝다운형

③ 만기시점의 주가상승률에 비례하여 수익을 주는 형태로 상상하는 한도는 가입시 결정해야하는
불스프레드형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더 많은 형태의 ELS가 존재하기때문에 가입시 잘 알아보고 가입해야합니다.

 

ELS 투자시 알아봐야할 점

 

원금보장과 수익성 등 다양한 장점이 있는 ELS지만 투자상품이기때문에 잘 알아봐야합니다.

ELS는 보통 은행의 예금과 적금같이 연 2 ~ 3%의 금리에는 만족할수 없고,

주식이나 펀드투자는 부담이 되는 경우 많이 활용하는 상품으로

주가가 많이 오르건 많이 내리건 상관없이 정해진 구간안에서 움직일때에만 약속한 수익률을

보장하기때문에 상승장이던 하락장이던 한쪽으로 확실하게 방향을 잡은 경우보다는

주가가 한동안 박스권에 갇혀있을 가능성이 큰 경우 유리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또한 ELS는 기본적으로 채권+옵션으로 구성된 상품이기때문에 상품구조를 잘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원금보장형인 경우 대부분이 채권에 투자되기때문에 최근 ELB로 이름을 바꾸고

은행에서도 판매할수 있도록 되었으며

원금 비보장상품은 다양한 상환조건을 내세우면서 연 10% 이상의 고수익을 제시합니다.

아주 드물기는 하지만 기초자산이 개별주식인 경우 발행 증권사가 의도적으로 주가를

떨어뜨리는게 아닐까 의심스러운 정황이 발생할 때도 있기때문에

투자와 관련해 초보라고 생각한다면 기초자산으로 개별주식보다 지수형을 선택하는것이

여러가지 측면에서 안전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ELS에대해 간단하게나마 알아보았습니다.

수익성과 안정성 두마리 토끼를 잡을수 있는 ELS라고 하지만 투자상품의 한 종류이기때문에

원금손실이 발생할수도 있으며 원하는 수익율을 못 달성할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세히 알아본 후 ELS를 선택하도록 해야하며 본인에게 맞는 재테크 계획을 가지고

그 태두리 안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것이 좋습니다.

아래 링크해놓은 리더스리치 홈페이지에서는 ELS에대해 더욱 자세히 살펴볼수 있으며

무료상담신청을 통해 개인맞춤형 재테크 상담 및 자산관리 포트폴리오를 받아볼수 있어

개인 재테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리더스리치] 개인맞춤형 재테크 상담 및 자산관리 포트폴리오 무료제공 바로가기

 

 

효율적인 재테크를 통해 안정적으로 본인이 원하는 수익율을 올리시기 바라며

ELS와 관련된 포스팅을 마칩니다.

'재테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노후준비 연금 3형제  (0) 2014.11.18
안전형 재테크 VS 수익형 재테크  (0) 2014.11.12
퇴직연금의 종류  (0) 2014.10.24
인덱스 펀드의 장점과 단점  (0) 2014.10.21
채권형 펀드 재테크 전략  (0) 2014.10.13